궁금하다. 다른 사람들은 책을 어떻게 읽을까? 1년에 책을 100권 또는 그 이상으로 읽는 사람들은 정말 완독을 할까? 책의 1페이지부터 끝까지 읽어야 1권을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아니면 필요한 내용만 발췌해서 읽어도 한 권을 읽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런데 1년에 몇 권 읽었는지가 진짜로 중요한 것일까? 완벽주의는 아니지만 클래식하게(?) 책의 첫 장부터 끝장까지 다 읽어야 한 권을 읽는 것이라 생각했고 지금까지 그렇게 해 왔다. 더불어 서평까지 써야 내가 읽은 책의 권수에 '+1'을 할 수 있었다. 참 웃긴 일이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동기부여를 위해서 정해둔 '1년에 50권 읽기'를 위해서, 정확하게는 그 50이라는 숫자를 위해서 읽기 싫은 책도, 의미가 없다고 느끼는 책도, 심지어 시간이 아깝다고 느끼는 책도 완독을 했다. 그렇게 완독을 하면 아무 생각이 없어 서평을 쓸 수 없었고, 차마 읽은 권 수에 +1도 할 수 없었다.
2년 전 독서를 처음 시작했을 때와 달리 이제는 어떤 책을 읽다가 보면 책이 별로라는 느낌을 받는다. 또는 읽기 싫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래도 샀으니깐, 읽기 시작했으니깐 끝을 보자는 마음으로 억지로 정말 억지로 책의 내용이 아닌 활자를 읽기 시작한다. 문제는 시간을 낭비한 기분이 들지만 이런 일이 또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러던 중 온라인 독서모임 빡독x하노버 나눔에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중간에 책을 덮는 것도 독자의 권리이다.
그렇게 이 책 <일독일행 독서법>을 추천받았다. 이 책은 처음 알았지만 저자 유근용은 유튜브를 통해 접한 적이 있다. 책을 읽기 전과 후가 완전히 달라져 지금은 독서 모임도 운영하고 있고, 투자, 부동산은 물론 자기 계발 및 계획/다이어리 정리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그냥 읽지 말고 읽은 것을 쓰고, 삶에 하나라도 적용하여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독일행'을 할 수 있는 그의 비법을 <일독일행 독서법>에 담았다.
일독일행에 대해서는 격하게 공감하고, 실천에 옮기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읽는 내내 고개를 끄덕이면서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일독일행 독서법>은 고영성 작가의 <어떻게 읽을 것인가> 또는 신영준 박사, 고영성 작가의 <완벽한 공부법>, <일취월장> 등 여러 책에서 봤던 내용이 많아 빡독x하노버 정기 모임 시간인 1시간 30분 만에 완독 할 수 있었다. 사실 목차를 먼저 확인하고 발췌독을 할 예정이었으나 일독일행을 실천하는 팁이 있을까 싶어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았다. 그중 유독 머리에 남고, 앞으로도 간직하여 나의 독서법에 적용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 소개한다.
집착할수록 괴롭다: 이해가 안 되면 넘어가라
내가 무언가를 배우는 스타일은 좋게는 성실하고 꼼꼼하다고 할 수 있지만, 나쁘게는 융통성 없고 빨리 익히는 것이 중요한 요즘 같은 때에 맞지 않게 올드하다. 책의 1장 1절을 펴고, 의의나 정의부터 시작해서 2장, 3장 순서대로 끝까지 가야 한다. 중간에 막히는 것이 있으면 이해가 될 때까지 다음 장으로 못 넘어 간다. 혹 내가 필요한 내용이 5장에 있다고 하더라도 1장부터 본다. 5장을 이해하기 위해서 1장부터 4장까지 봐야 할 것 같은 불안감 때문이다.
법학을 전공할 때는 몰랐는데, 컴퓨터 공학을 전공할 때 이런 방법은 최악이었다. 예를 들어 JAVA를 배울 때 '객체'라는 말이 이해가 가질 않았다. 독일어가 부족해서 그런가 싶어 한국말로도 봤지만 이해가 안 갔다. 그때 객체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책 저책 보고, 이 블로그 저 블로그를 돌아다니면서 정작 중요한 코딩은 하나도 못하고, 시간을 보냈다. 그럴 것이 아니라 간단하게만 확인하고 넘어가서 객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봤어야 했다. 그래야 전체적인 코딩을 이해하면서 그 코딩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적인 요소인 '객체'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경험적으로 이해한 내용이 <일독일행 독서법>에 나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 대목도 이해하지 못할 거야.'라는 불안감 때문에 모르는 부분을 반복해서 읽는다.
(중략)
책을 끝까지 읽으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면 이해의 폭이 넓어진다. 때문에 몰랐던 부분이 단번에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일독일행 독서법> ebook 47%
저자는 배우고 익힐 것이 많은데 이해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한 부분에 너무 오랜 시간을 소비하면 시간도, 체력도 낭비가 심할 수 있으니 과감하게 넘어갈 필요도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모르는 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부분이 될 수도 있는 그러나 지금은 모르는 그 한 점 때문에 전체를 놓치지 않기 바라는 마음에서 한 조언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나의 학습법은 불안에서 오는 자기 위로에 가까운 학습법이라 생각한다. 그렇게 '객체'를 이해하지 못하고 제일 많이 한 말이 '난 코딩이 적성에 안 맞아.'였다. 사실 적성을 판단하려면 작은 부분이 아니라 큰 영역을 확인하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인데 그때는 왜 몰랐을까? 왜긴 왜야 독서를 안 했어서 그렇지.
지나친 완벽주의를 누가 좋아하랴: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어라
'책 한 권을 다 보지 않고 다른 책을 읽으면 두 권 다 제대로 읽은 것 같지 않아요.'
내가 느끼는 것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앞에서 말한 것처럼 무조건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다음 책으로 넘어 갔다. 이유는 모르겠는데 그냥 다 읽어야 할 것 같았다. 그러다가 독서 고수들이 동시에 여러 권의 책을 읽는다는 것을 알고, 최근에는 동시에 책 2권을 시도했고, 이번 주는 특별히 더 많은 책을 동시에 읽어 보았다. (이렇게 다른 사람의 행동을 참고하여 적용하는 것도 일독일행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독서의 슬럼프나 독서의 텐션이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예방 또는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느낀다. 하지만 나의 문제는 여기서 하나 더 나아가 모든 책을 완독해야 한다는 강박감에 있었다. 그러니 2권 또는 그 이상을 읽기 시작하니 완독해야 한다는 압박이 책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을 앞서 대충 읽거나 책을 읽느라 그 날의 우선순위가 꼬이는 등 부작용이 생겼다. 사실 부작용이라기 보다 내가 사용법대로 사용하지 못한 내 잘못이다.
책마다 정말 집중해서 읽어야 할 부분은 따로 있고 모든 페이지가 무조건 유익한 것은 아니라는 걸 깨달은 것이다. 좋은 책들은 지금도 계속 쏟아져 나오고 읽어야 할 책들은 산더미처럼 쌓이고 있다.
<일독일행 독서법> ebook 48%
<일독일행 독서법>에서는 독서를 성장 또는 변화를 위한 Input의 수단으로 여기기 때문에 책 전체 내용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묘사하지 않았다. 편집의 눈을 통해서 수많은 책들에서 자신에게 정말 필요한 부분을 골라 읽을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독서 습관을 키우는데 완독은 필요하지만 어느 정도 책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생겼다면, 더 많은 책에서 변화를 위한 재료를 모으고 싶다면 완독에 대한 부담감과 의무감을 떨쳐내야 한다. 잊지 말자! 독서는 읽는 것보다 자기화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그럼 어떻게 책 전체 내용에서 필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을까?
책을 읽기 전에 목차를 먼저 살펴보고, 내가 필요로 하는 부분 또는 궁금했던 부분 등 관심이 가는 챕터를 먼저 읽는 것을 추천한다. 그런 다음에 나머지 부분을 읽게 되면 몰입감과 집중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무조건 다음 책은 목차부터 읽을 예정이다.
이 책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빡독x하노버 독서 고수들의 추천을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목차를 보고 접근을 했는데 생각만큼 마음에 들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럼 책 본전 생각하지 말고 과감하게 덮으라고 한다. 독서는 원래 힘든 일이다. 절대 쉬운 독서라는 것은 없다. 나의 관심과 집중력, 몰입, 목적의식 등 다양한 이유로 동기부여가 된 상태에서 읽어도 어려운 것을 절대 권 수로 자신의 독서를 판단하려 하지 말고, 독서를 통해 얻은 가치를 통해서 자신의 독서가 판단되어야 한다.
정말 필요했던 조언을 빡독x하노버를 통해서 얻었고, 그에 대한 확신을 <일독일행 독서법>을 통해서 얻을 수 있었다. 이 서평이 독서 왕초보는 아니고, 독서에 대한 습관을 겨우 형성한 독서 초보에서 중수로 넘어가고자 하는 나와 같은 이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IT 좀 아는 사람] 미래의 일자리.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0) | 2021.02.24 |
---|---|
[동물농장] 사상의 흥망성쇠에서 오만가지 생각하게 하는 책 (2) | 2021.02.22 |
[미야자키 월드] 착한 편과 나쁜 편을 나눌 수 없었던 '모노노케 히메' aka 원령공주 (0) | 2021.02.20 |
[걸리버 여행기] 대충은 알지만 확실히는 모르는 이야기 feat.소인국, 거인국 말고 2개 더 있다. (5) | 2021.02.19 |
[돈의 속성] 스노우폭스 김승호 회장이 말하는 자녀 부자 만들기 (2) | 2021.02.17 |
댓글 영역